최기봉 / 정치학 박사 · 전 남부공항서비스 상임감사, 전 국회 정책보좌관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을 주도하는 엔비디아(NVIDIA)의 창립자 젠슨 황(Jensen Huang) 은 최근 방한에서 “한국은 제조·소프트웨어·AI가 결합할 수 있는 드문 나라”라고 강조했다. 그의 말은 단순한 외교적 인사치레가 아니라, 한국을 미래 산업의 중심 거점으로 보는 전략적 평가였다.
그는 서울 강남의 한 치킨집에서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과 함께 치킨과 맥주(치맥)를 나누며 환담했다. 세계적인 기술 리더가 한국의 일상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교감한 그 장면은 상징적이다. 기술 협력의 시작이 단순한 비즈니스가 아니라 인간적 신뢰와 문화적 공감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젠슨 황은 “한국은 지능(Intelligence)을 수출할 수 있는 나라”라며, 제조 경쟁력에 AI를 결합하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와 기업에 26만 개 이상의 AI 칩 공급을 발표했고,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차 등과 AI 반도체, 로봇, 자율주행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의 발언은 곧 한국이 ‘AI 제조 국가’로 도약할 기회를 뜻한다.
이와 함께 세계 주식시장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AI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가 글로벌 증시를 견인하면서, 한국의 반도체·AI 관련 기업들 역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AI 산업의 성장세가 단순한 기술 이슈를 넘어 경제와 금융시장의 중심 흐름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이제 우리가 준비해야 할 과제는 분명하다.
첫째, AI 인프라와 반도체 산업의 전략화다. 고성능 AI칩, HBM 메모리, 데이터센터 구축 등 첨단 인프라에 과감히 투자하고, 정부·지자체·대학이 연계된 AI 인재 양성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제조업과 AI의 융합 가속화다. 중소기업·농업·서비스 등 전통산업 현장에 AI를 접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지능형 산업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국제 기술 협력의 균형 유지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기술동맹의 가교 국가로서 전략적 중립과 협력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젠슨 황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AI 시대의 승자는 기술을 보유한 나라가 아니라, 지능을 조직하고 활용하는 나라다. 치맥에서 시작된 신뢰의 인연이 한국의 지능을 수출하는 나라, AI 혁명의 주역으로 이끌어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