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 연구원 이직이 매년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성범 의원(국민의힘.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이 10월 23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43명, 2024년 166명, 2025년 6월 현재 85명으로 최근 3년간 정부 출연연 연구원들의 이직이 매년 느는 추세로 확인됐다.

연구원 이직 증가 추세는 NST 산하 23개 연구원 중 평균 연봉 1위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3개 연구원 평균 연봉은 8,014만 원인 반면, 연봉 1위를 차지한 KIST 연구원의 평균 연봉은 9,696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표준연구원이 8,959만 원, 지질자원연구원이 8,944만 원, 전자통신연구원이 8,801만 원 순으로 높았다.

반면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는 6,603만 원으로 23개 출연연 중 연봉 하위 1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과학기술 출연연 중 연구원 평균 연봉 1위인 KIST조차 2023년 14명, 2024년 16명, 2025년 6월 현재 10명으로 매년 연구원 이직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최근 3년간 KIST 연구원들은 의원면직 후 대학(79.1%), 기업체(10.4%) 순으로 이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연봉 4위인 전자통신연구원(ETRI) 역시 2023년 26명, 2024년 35명, 2025년 6월 현재 17명으로 최근 3년간 이직자 수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TRI 연구원들은 의원면직 후 대학(56.2%), 기업체(17.4%), 정부 기관(6.6%) 순으로 이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신성범 의원은 “소위 정부 출연연의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ETRI조차도 초임이 대기업의 약 60∼70% 수준이고, 1인당 평균 급여가 시가총액 10대 기업 1인당 평균 급여의 75% 수준에 불과해 이직을 막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라며, “정년, 연봉, 근무 여건 등 차이로 대학, 기업으로의 이직이 늘고 있는 만큼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